본문 바로가기
생활 경제

연봉별 실수령액 공제금액 세액 계산 연봉 실수령액은?

by 경제-금융 편의점 2024. 10. 28.

2023년 공제율을 적용한 최신 연봉 실수령액 표입니다. 실수령액은 연봉을 월급으로 단순 환산한 금액에서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과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공제한 금액을 말합니다. 연봉에서 공제액을 뺀 월급 실수령액이 됩니다.

연봉별 실수령액 공제금액 세액 계산 연봉 실수령액은?
연봉별 실수령액 공제금액 세액 계산 연봉 실수령액은?

 

 

 

 

더보기

Table of Contents

 

공제액 계산 기준
근로소득 간이 세액표 공제 대상
근로소득 간이 세액 표  
연봉 실수령액이란?
연봉별 실수령액 표

 

연봉 공제액 계산 기준

2023년 실수령액 계산을 위한 공제액 계산기준은 근로자 기준으로 국민연금(4.5%), 건강보험(3.495%), 장기요양(건강보험료의 12.27%), 고용보험(0.90%), 소득세(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공제대상 가족수 1인 기준),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입니다.입니다.

 

근로소득 간이 세액표 공제 대상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이용방법은 공제대상 가족 중 8세 이상 20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경우의 세액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금액에서 해당 자녀 수별로 아래의 금액을 공제한 금액으로 한다. 단, 공제한 금액이 마이너스인 경우 세액은 0원으로 한다.

근로소득 간이 세액표 공제 대상
근로소득 간이 세액표 공제 대상

 

근로소득 간이 세액 표

근로소득 간이 세액 표
근로소득 간이 세액 표

연봉 실수령액이란?

공제금액 계산 기준

2023년 실수령액 계산을 위한 공제금액 계산 기준은 근로자 기준으로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495%), 장기요양 (건강보험료의 12.27%), 고용보험 (0.90%), 소득세(근로소득 간이세액표의 공제대상 가족수 1인 기준),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입니다.

연봉별 실수령액 표

아래 연봉 실수령액 표는 소득세 부양가족 1명 기준(본인)으로 작성되었으며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부양가족 수에 따라 약간의 변동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공제기준을 반영하였습니다.

연봉 3000 실수령액

연봉 3,000만 원의 예상 월 실수령액은 대략 220만 원입니다. 250만 원에서 공제액 약 30만 원을 제한 금액입니다.

연봉 5000 실수령액

연봉 5,000만 원의 예상 월 실수령액은 대략 350만 원입니다. 공제 전 약 415만 원에서 공제액 65만 원을 제한 금액입니다.

연봉 7000 실수령액

연봉 7,000만 원의 예상 월 실수령액은 대략 478만 원입니다. 583만 원에서 공제액 105만 원을 제한 금액입니다.

연봉 1억 실수령액

연봉 1억 원의 예상 월 실수령액은 대략 650만 원입니다. 공제전 830만 원에서 공제액 180만 원을 제한 금액입니다.

 

아래는 2023년 최신 연봉별 실수령액을 정리한 표입니다.

 

결론

연봉 실수령액은 연봉에서 세금과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를 공제한 후 실제로 받게 되는 월급입니다.

2023년 기준 공제율에 따라 소득 구간별로 공제 금액이 달라지며, 연봉이 높을수록 실수령액에 대한 공제액이 커집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글!

✅️실업크레딧! 실업 기간에 국민연금 보험료 75% 지원

✅️근로자 생활 안정 자금 대출 고려 사항

 

신용카드 소득공제! 연말정산 100% 환급 받는 법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1년 동안 받은 소득에 대해 다음 해 2월에 실제로 납부해야 할 세금을 정확히 계산하여 정산하는 절차입니다. 급여를 받는 근로자의 경우, 매달 원천징수된 세액과 실제 납

we66.tistory.com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 조건 장점 단점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은 꼼꼼하게 알아보고 최고의 선택을 위한 가이드이며,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은 노후 대비 자금 확보, 부채 상환, 사업 자금 마련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

we66.tistory.com

 

2025년부터 시행되는 주거지원 혜택 변화 총정리

결혼과 출산 계획을 세우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2025년부터 시행되는 주거지원 혜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는 출산 가구를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는 결혼과

we66.tistory.com

 

반응형